top of page
타이틀2.png

쓰레기 처리 방법은

세 가지뿐이다.

흙으로 묻어버리거나

태우거나

다시 쓰거나

※​크롬 브라우저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쓰레기 역습, 더 이상 '묻고' 갈 수는 없다

1992년부터 2018년까지 총 1억4천900만t의 쓰레기 매립이 완료된

수도권매립지 1, 2 매립장은 축구장 717개 면적에 달한다. 

 

지금의 속도대로 쓰레기를 배출한다면 20~30년 후쯤이면

세계 최대 규모인 인천 서구 수도권쓰레기매립지 같은 대규모 매립지가

얼마나 더 필요할지 예측하기 어려울 정도다.

인천시는 
2025년부터 수도권매립지 반입 종료를 선언했다.

대체 매립지를 조성하려면 준비 기간만 10년 정도 걸린다.

반입 종료는 이제 5년 남았다.

1992~2018년 수도권매립지 폐기물 반입량

상위 10개 시구군 폐기물 발생량

사람은 서울로

     쓰레기는 인천으로

트럭.png

수도권 매립지 운영이 시작된 1992년부터 2018년까지 매립지에 매립된 전체 폐기물은 약 1억4천943만450t이었다. 이중 서울시가 절반이 넘는 8천359만8천270t(55.9%)의 쓰레기를 매립지에 묻었다. 

 

경기도가 4천160만1천49t(27.9%)으로 뒤를 이었고 인천시는 2천419만9천567t(16.2%)으로 가장 적었다. 서울시가 인천시의 3배, 경기도의 2배 많은 양의 폐기물을 지금까지 수도권매립지에 버린 것이다.

수도권매립지에 매립된 생활폐기물 역시 최근 5년간 통계를 보더라도 서울시가 가장 많았다. 

가까워지는 대란

'귀중한 자원'인데…

어쩌다 매립지로 오셨습니까?

쓰레기1.png
종이2.png
종이1.png

'잘못된 분리배출' 반입량 늘려

지난 2일 오후 10시. 인천 계양구 한 폐기물 수거업체 근로자들의 하루는 늦은 밤부터 시작됐다. 3인 1조로, 7t의 폐기물 압축차량을 타고 동네를 돌기 시작했다.

폐기물 수거업체 근로자들이 수거하는 폐기물은 종량제 봉투에 담긴 '생활폐기물'이지만, 투명 봉투에 버려진 재활용 폐기물도 차량에 함께 실었다. 이물질이 묻은 라면 용기, 물기가 남아 있는 페트병 등이 담긴 봉투였다. 이물질이 있는 폐기물은 재활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재활용할 수 있는 쓰레기가 무분별하게 버려져 불필요한 매립이 이뤄지고 있다.

12년째 폐기물 수거 일을 하고 있다는 정모(53)씨는 "원칙대로 종량제 봉투만 수거하면 다음날 쓰레기가 치워지지 않았다는 주민들의 민원이 빗발친다. 재활용품이라도 현장 판단에 따라 재활용할 수 없어 보이면 가져갈 수밖에 없다"며 "주민들이 나름대로 재활용이라고 분리해 내놓지만, 실상은 음식물 찌꺼기, 물기가 있어 재활용할 수 없는 게 태반"이라고 했다.

잘못된 분리배출

쓰레기, 어떻게 처리되나

# 종량제 봉투속 무분별하게 버려지는 재활용 쓰레기

환경부의 전국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에 따르면 전국에서 하루 평균 약 4만6천700여t(2018년 기준)의 생활폐기물이 쏟아진다. 

 

매일 25t 덤프트럭 1천800여대로 옮겨야 하는 수준이다. 이중 절반에 가까운 약 43%(약 2만t)가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 지역에서 발생한다.

배출된 쓰레기는 각 자치단체와 위탁 계약을 맺은 폐기물 처리 업체에 의해 수거된다. 작업자들이 하루 약 10시간 동안 일명 '쓰레기차'를 타고 돌아다니며 버려진 쓰레기를 수거한다. 

 

폐기물 수거 업체는 통상적으로 이틀은 소각장에, 하루는 매립지에 폐기물을 버린다. 현재 수도권매립지에는 서울·경기·인천 지역 66개 기초자치단체 중 인천 옹진군과 연천군 2곳을 제외한 64곳의 폐기물이 반입되고 있다.

수도권매립지 반입과정

1·2매립장 면적 축구장 717개 맞먹을 정도

수도권매립지의 매립은 5m 높이를 1단으로 해 모두 8단으로 이뤄진다. 1단이 쌓일 때마다 50㎝씩 중간 복토가 이뤄지며, 매립이 완료되면 매립장은 40m 높이의 폐기물이 쌓이게 된다. 

폐기물은 땅속에서 부패하면서 침하가 이뤄지는데, 매립이 완료된 제2매립장은 현재 약 10m 높이의 언덕이 됐다.

매립된 폐기물에서 발생하는 침출수는 수집정을 통해 처리장으로 옮겨지며, 매립 가스는 포집정을 통해 발전소로 가게 된다. 

이런 방식으로 제1매립장에는 8년간 약 6천400만t, 제2매립장에는 18년간 약 8천만t의 폐기물이 매립됐다. 두 매립장의 매립 면적만 해도 축구장 717개 규모다. 

매립지는 어떻게

운영될까

Untitled-5.jpg

생활 폐기물 처리과정

쓰레기, 어떻게 처리되나

 

 

 

무엇이 문제였나

인천 서구 안동포마을과

사월마을을 아십니까

안동포마을.jpg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의 쓰레기를 매립하는 수도권매립지가 들어선 이후 정겨웠던 두 마을은 어둠 속으로 가라앉고 맙니다.

1992년 2월 안동포마을과 직선거리로 500m 떨어진 곳에 수도권매립지 제1 매립장이 들어섰습니다.

수도권매립지 제1 매립장은 초기부터 실패작이었습니다. 부실한 설계와 시공으로 쓰레기에서 발생한 침출수가 서해로 흘러들었습니다. 악취는 말할 수도 없었습니다.

안동포마을

1992년 수도권매립지가 들어서면서 쓰레기와 악취 등으로 주민들은 하나둘 떠나고 이름만 남은 마을이 되었다.

사월마을.jpg

사월마을

최근 정부로부터 주거지역으로 부적합 판정을 받은 사월마을은 매립지가 생기기 전까지만 해도 살기 좋은 깨끗한 곳이었다.

20살에 시집와 66년째 안동포마을에 살고 계신 김도분 할머니는 "밤에는 차들이 어찌나 빨리 달렸는지, 덤프트럭 소리가 집에서는 '비행기 소리' 같이 들렸다"고 합니다. "매립지가 들어오고 나서는 낮에는 악취, 밤에는 소음 때문에 도저히 살 수가 없었다"고 말씀하시는 할머니 표정은 어두웠습니다.

INTERVIEW

안동포마을
불도저.jpg

동의 없이 만든 '세계 최대 매립지'

주민 삶 파고든 매립지… 밀어붙인 환경청

1매립장.png

#수도권매립지의 시작, 동아매립지

도권매립지 조성은 198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현재의 수도권매립지, 청라국제도시 일대는 원래 농경지 목적으로 매립됐다. 

 

1980년 1월, 동아건설산업(주)(이하 동아건설)가 당시 농수산부(현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농경지 확보를 목적으로 공유수면 매립면허를 받고, 1983년부터 인천 서구 원창동, 경서동, 연희동과 김포 일대 공유수면 간척사업을 벌였다. 

 

수도권매립지가 과거 '동아매립지'로 불렸던 이유다.


매립 면적은 약 3천700만여㎡(37㎢), 1천150만평에 달했다. 웬만한 기초자치단체 면적과 맞먹는 크기다. 서울에서 인구수가 가장 많다는 송파구(33㎢), 인천 부평구(32㎢)보다 넓다.

수도권매립지 인근 서구 왕길동 안동포마을에서 53년째 살고 있는 백순동(75)씨는 "갯벌이 땅으로 변하기 전까지만 해도 안동포 마을은 정말 공기 좋고, 물 좋고, 살기 좋은 곳이었다"며 "특히 갯지렁이 같은 해산물이 많았는데, 이를 캐 마을 사람들이 한데 모아 일본에 팔기도 했다"고 말했다. 

 

1983년, 갯벌 매립이 시작되면서 이듬해 천연기념물 지정은 해제됐고, 주민들의 생계 터전은 사라졌다.

수도권 매립지의 시작

수도권 매립지 조성일지

3면 copy.jpg

매립지 부실운영이 빚은 '재난'

흘러나온 유독물질·눈감은 부당거래

'악취' 끊이지 않는 관리주체

위생 매립을 약속했던 제1매립장은 사실상 '비위생 매립장'이었다. 업체들의 부실 설계·시공, 침출수 누출 등 숱한 문제가 발생했다.

제1매립장의 부실한 운영은 고스란히 인천 주민들의 피해로 이어졌다. 어민들의 피해가 대표적이다. 오염된 침출수가 해양 환경까지 파괴한 것이다.

 

각종 부실 운영이 이뤄진 제1매립장은 사후관리가 19년간 더 필요한 처지에 놓였다. 

 

 

법적 사후 관리 기간은 올해 9월로 종료되지만, 추가 관리가 불가피하다.  2000년부터 매립이 시작된 제2매립장도 상황은 마찬가지였다. 매립 가스 누출로 인한 악취 피해가 끊이지 않았다. 청라국제도시를 중심으로 발생한 집단 피해는 최근 2년간 반복됐다. 

매립지 부실운영

내 뒷마당은 안돼

Not In My Back Yard

​내 앞마당으로

Please In My Front Yard

'흉물'로 바라보는 님비

vs

'명물'로 받아들인 핌피

yes.png

내 집 앞에 다른 사람이 쓰레기를 매일 버린다면, 자신들은 쾌적한 곳에서 살면서 쓰레기는 당신이 사는 동네에 버릴 테니 알아서 처리하라고 해도 "괜찮다"고 하겠는가.

 

환경분야 전문가들은 이런 이유로 발생지에서 쓰레기를 처리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님비 vs 핌피

방법이 없는 것만은 아니다. 해결하지 못할 것 같은 님비주의를 깨고 지역과 상생하는 핌피주의의 선례를 하남시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하남시 신장동에 위치한 유니온파크는 소각시설, 음식물자원화시설, 재활용 선별시설, 하수처리시설 등이 집약된 종합폐기물처리시설이다.

INTERVIEW

재활용.png

속 빈 강정 '재활용 강국 코리아'

환경부에 따르면 2017년 기준 폐기물 처리 비율은 재활용이 86.4%, 소각이 5.8%, 매립이 7.8%로 나타났다. 수치상으로는 해외 어느 나라와 비교해도 재활용 비율이 뒤떨어지지 않지만, 실상과는 거리가 멀다.

생활폐기물의 경우 재활용은 '수거-선별-처리' 세 단계 과정을 거친다.

시민들이 분리한 쓰레기는 수거 업체를 거쳐 선별업체로 넘어간다. 정부는 선별업체에 넘긴 폐기물 양까지 합쳐 재활용 통계에 활용한다.

선별업체에서 수거했더라도 또 한차례의 분리 작업이 이뤄지기 때문에 선별업체가 반입한 폐기물 전체를 재활용으로 볼 수 없다.

선별업체가 수거한 쓰레기 중 실제 재활용이 가능한 것들만 솎아내고 나머지는 소각장 또는 매립지로 보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부가 86.4%라고 주장하는 재활용 비율은 분리수거 비율로 봐야 한다.

사진1.jpg
퍼즐2.png

​직매립 없는 대체 매립지…

얼마 남지 않은 내일을 위한 시간

'4자협의체'

어디로 가고 있나

설계부터 인·허가까지… 가동에 7년 필요
4·15 총선전까지 운영등 협의 마무리 방침
최종 후보지 3곳 주민반발 우려 발표 안해

퍼즐.png

수도권매립지 운영이 오는 2025년 정지됨에 따라 서울시와 인천시, 경기도, 환경부는 4자 협의체를 구성해 수도권 매립지를 대체할 새로운 매립지를 찾고 있지만, 여전히 청사진을 그리지 못하고 있다.

4자 협의체는 대체 매립지 후보 지역 등을 담은 대체 매립지 용역 결과가 지난해 나왔음에도 후보지 주민들의 반발을 우려한 나머지 선정 결과를 발표하지 못했다.

 

또 대체 매립지를 선정 방식이 아닌 공모 방식으로 전환하기로 하는 등 우여곡절도 겪었다. 

4자 협의체가 대체 매립지 조성 선정과 운영 방식에 대한 문제로 갈팡질팡하는 동안 대체 매립지 조성 시한은 어느새 코앞으로 닥쳤다.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SL공사)는 대체 매립지 부지 선정 이후에도 매립지가 정상 가동될 때까지 7년가량의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차기 매립장 설계(2년), 공사(4년), 발주 및 업체 선정 및 인·허가(1년) 등의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SL공사는 매립장을 부분 준공할 경우 조성 연도를 앞당길 수는 있지만 매립지 선정은 늦어도 올해 안에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4자협의체 어디로

관련 기사 바로가기

링크1.jpg

2020.3.12 1면

쓰레기 역습, 더 이상 '묻고' 갈 수는 없다

링크2.jpg

2020.3.13 1면

우리가 버린 쓰레기… 마을을 집어삼켰다

링크3.jpg

2020.3.16 1면

'흉물'로 바라보는 님비 vs '명물'로 받아들인 핌피

※사진을 클릭하면 기사를 더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bottom of page